News & Events
2025.05.
-
-
-
선박저항성능연구실 서인덕 박사과정, 2025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미래해양과학기술인상 우수상 수상
-
서인덕 박사과정생(지도교수: 이신형)이 2025년 5월 8~9일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된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에서 Mechanics 분야 유력 학술지인 Physics of Fluids에 게재한 논문으로 미래해양과학기술인상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해양수산부와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는 해양과학기술 분야 신진 연구자의 육성 및 지원을 위해 매년 미래해양과학기술인상을 시상하고 있으며, 이 날 해양과학과 해양기술 부문으로 구분하여 각각 대상 1편, 최우수상 2편, 우수상 4편을 시상하였다. 해당 논문은 2024년 Physics of Fluids에 게재된 “Water entry of a sphere moving along a circular path at a constant speed”이며, 교신저자는 이신형 교수, 공저자는 고석천 박사이다.
-
-
2025.03.
선박저항성능연구실 하정수 박사과정, 2025년도 해양수산 청년연구자 응원海! 도전海! 프로그램(국제 학술대회 참여) 선정
하정수 박사과정생(지도교수: 이신형)이 2025년도 해양수산 청년연구자 응원海! 도전海! 프로그램(국제 학술대회 참여)에 선정됐다.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KIMST)은 해양수산 신산업 분야 청년연구자가 글로벌 핵심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국제 연구기간 방문,학술대회 참여 및 논문 게재를 지원한다. 하정수 박사과정생은 국제 학술대회 참여 부문으로 지원하여 NAV 2025 참여에 지원을 받게 되었다. NAV 2025는 이탈리아 Associazione Italiana di Tecnica Navale이 주관하는 학회로 해양 엔지니어링 및 해양 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주제를 다룬다. 3년 주기로 개최되는 이 행사는 올해는 6월 18일 – 20일 (3일간) 이탈리아 Messina에서 열린다. 하정수 박사과정생은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Free Surface Effects on Propulsion Performance of a Propeller Operating near the Free Surface” 라는 제목으로 발표 예정이다.
2025.03.
선박저항성능연구실 김대혁 박사, 해양수산부 “첨단 해양 모빌리티 전문인력 양성 사업” 해외 연구 장기 연수 프로그램 선정
김대혁 박사는 2024년 말 해양수산부의 “첨단 해양 모빌리티 전문인력 양성 사업”의 해외 연구 장기 연수 프로그램에 선정되어, 2025년 3월부터 1년간 독일 RWTH Aachen University(아헨 공대) Mechatronics of Mobile Propulsion 연구소의 초청학자(Guest Researcher, Gastwissenschaftler)자격으로 협력 연구를 수행한다. 협력 연구 주제는 김대혁 박사가 조선소 그룹 재직 시절 참여했던 하이브리드, 전기 추진 선박 프로젝트 경험과 아헨 공대의 추진 연구 역량을 결합한 “Design and Optimization of Electric Power and Propulsion Systems for Ships using Operational Data”이다. 또한, 김대혁 박사는 본 협력 연구 외에도 한-독 협력 연구, Horizon EU Call 프로젝트 등 다양한 연구 협력 기회를 기획하고 발굴할 계획이다.
2024.11.
“세계 1위 k-조선사업의 위기와 기회”와 “친환경 규제, 조선업에 독일까 득일까?” 라는 주제로 통상TV에 교수님께서 인터뷰하신 영상입니다.
2024.11.
(사) 대한민국해양연맹이 11월 14일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이헌승 국회의원이 주최하는 ‘국가 해양력 강화 심포지엄’을 ‘패러다임 전환, 상생’이라는 주제로 (사)해양전략연구소와 공동주관하여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심포지엄은 각 분야의 대표가 실제 운용상의 문제점과 대책을 발표하고 상호보완책을 강구하는 실질적인 대담 형태로 진행되었고, 조선분야 대표로 교수님이 초대를 받으셨습니다. 아래의 영상은 교수님의 대담 영상입니다.

2024.11.
선박저항성능연구실 서인덕, 하정수 박사과정생, 2024년 대한조선학회 STAR 장학생 선정
- 서인덕, 하정수 박사과정생(지도교수: 이신형)이 2024년 대한조선학회 STAR 장학생으로 선정됐다. 대한조선학회는 우리나라 조선해양 분야의 학문과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격려하기 위해 남성해운 김영치 회장께서 희사한 기금으로 STAR 장학생을 선정한다. 서인덕, 하정수 박사과정생은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2024년도 STAR 장학생에 선정되었다.ㅍ
2024.10.
선박저항성능연구실 김한준 석사, 제 2회 한국전산유체공학회 전산유체공학 미래인재상 수상
- 김한준 석사(지도교수: 이신형)가 제 2회 한국전산유체공학회 전산유체공학 미래인재상에 선정되었다. 한국전산유체공학회는 국내외 전산유체공학 이론 및 응용 분야에서 학문과 기술 발전에 뛰어난 역량을 소유한 미래 인재를 포상하기 위해 전산유체공학 미래인재상을 수여한다. 김한준 석사는 그동안의 연구성과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전산유체공학 미래인재상을 받게되었다.
2024.08.
기사 링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73556
“해양 강국 위해 ‘해양 모빌리티’ 주목해야“라는 주제로 중앙일보에 교수님께서 기고하신 글입니다.

2024.07.
-
-
선박저항성능연구실 하정수 박사과정생, 2024 미국 조선학회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and Marine Engineers, SNAME) Graduate Paper Honor Prize 선정
-
SNAME Graduate Paper Honor Prize는 조선공학 분야에서 탁월한 연구 성과를 보인 대학원생들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올해는 하정수 박사과정생(지도교수: 이신형)이 선정되었다. 2023 SNAME Maritime Convention (SMC)에서 하정수 박사과정생이 발표한 “Propulsion Performance Analysis of a Partially Submerged Propeller” 논문의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상을 받게 되었으며 시상식은 2024 SMC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
2024.07.
기사 링크: https://news.mtn.co.kr/news-detail/2024071813265750849
“한국해양한림원, 이신형 서울대 교수 등 정회원·준회원 선출”
한국해양한림원은 해양분야 석학들의 모임으로 2021년에 설립됐다. 해양한림원 정회원은 해양분야에 현저히 공헌한 한 학자들 중 정회원 3명(준회원은 2명)의 추천을 받은 학자를 대상으로 인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총회에서 투표를 통해 선출한다.
교수님께서는 2024년 상반기 정회원으로 선출되었습니다.

2024.06.
선박저항성능연구실 서인덕 박사과정생, 2024년 과기정통부 한국연구재단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지원사업 선정
서인덕 박사과정생(지도교수: 이신형)이 2024년 과기정통부 한국연구재단 박사과정생 연구장려금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되었다. 한국연구재단은 박사과정생들이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논문 주제를 주도적으로 연구하도록 지원하고자 매년 연구장려금 지원사업을 공모한다. 올해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의 서인덕 박사과정의 “역학 기반 학습 기법을 활용하여 2차원 다상유동 해석 시 날카로운 상 경계면 포착을 위한 경계면 압축 기법에 관한 연구”가 그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최종 선정되었고, 2024년 9월부터 약 1년간 2,500만원의 연구장려금을 지원받아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2024.06.
선박저항성능연구실 이인수 박사과정생, 과기정통부 한국연구재단 4단계 BK21사업 우수 대학원생 국제 공동연수 지원 프로그램 선정
이인수 박사과정생(지도교수: 이신형)이 2024년 과기정통부 한국연구재단 4단계 BK21사업에서 주관하는 우수 대학원생 대상 국제 공동연수 지원 프로그램에 최종 선정되었다. 과기정통부 한국연구재단에서는 BK21 참여 대학원생에게 국외 연수를 통한 국제기관과 공동 연구를 장려하고 해외 연구자와 네트워크 구축 기회를 부여하여 국제 공동연수를 지원하고 있다. 이인수 박사과정생은 그 동안의 연구성과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국제 공동연수 지원 대상자로 최종 선정되었으며, 2025년 2월부터 1년간 미국 University of Michigan에서 석좌교수인 Krishnan Mahesh 교수 지도 하에, 캐비테이션 모델링에 대해 방문 연구원 자격으로 국제 공동연구를 수행한다.
2024.06.
-
선박저항성능연구실 김한준 석사과정생, 2024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우수논문 발표상 수상
2024년 5월 23~25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에서 김한준 석사과정생 (지도교수: 이신형)은 “펌프젯 추진기의 단독성능 추정을 위한 CFD 코드 개발”을 주제로 한 발표로 우수논문 발표상을 받았다.
2024.02.
선박저항성능연구실 이원강 석사과정생, 서울대학교 기초학문 분야 학문 후속세대 선정
서울대학교는 기초학문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이끌 우수한 학문 후속세대를 발굴·지원하여 안정적으로 학업과 연구에 매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2012년부터 기초학문분야 학문 후속세대를 선정해 왔으며, 올해에도 약 350명의 석사 및 박사과정 학생을 학문 후속세대로 선정하였다. 이원강 석사과정생 (지도교수: 이신형)은 밀도와 점성이 다른 섞이지 않는 두 유체 사이 상경계면에서 발생하는 spin-up 현상 관측 및 분석에 관한 실험 연구로 지난 2월 2024년 기초학문 분야 학문 후속세대에 선정되었다.
2023.11.
선박저항성능연구실 이인수 박사과정생, 2024년 대한조선학회 STAR 장학생 선정
- 이인수 박사과정생(지도교수: 이신형)이 2023년 대한조선학회 STAR 장학생으로 선정됐다. 대한조선학회는 우리나라 조선해양 분야의 학문과 산업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격려하기 위해 남성해운 김영치 회장께서 희사한 기금으로 STAR 장학생을 선정한다. 이인수 박사과정생은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2023년도 STAR 장학생에 선정되었다.
2023.05.
기사 링크: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30519010005130
“韓 조선, 위상 높아… 글로벌 톱티어 협의체 구축 주도해야”라는 주제로 에너지경제에 교수님께서 인터뷰하신 기사입니다.

2023.03.
기사 링크: 선박도 ‘자율주행’…국내 조선업계, 기술개발 탄력 :: 매일경제TV 뉴스 (mbn.co.kr)
‘선박도 ‘자율주행’… 국내 조선업계, 기술개발 탄력’라는 주제로 매일경제TV에 교수님께서 인터뷰하신 영상입니다.
2023.01
‘[K-조선, 부활의 조건]① 경기침체에도 반등할까…”키워드는 기술력”’ 라는 주제로 머니투데이방송에 교수님께서 인터뷰하신 영상입니다.
2022.11
선박저항성능연구실 이원강 학부생, KTTC 실험유체역학 컨테스트 수상
2022.08
‘조선업 구조재편 게을리하면 ‘반짝호황’…자율운항선박 개발해야’라는 주제로 서울경제에 교수님께서 인터뷰하신 기사입니다.


2022.08
기사링크 : [이신형의 미래를 묻다] 무늬만 1위 조선업, 노새에 머무를까 사자로 뛸까 | 중앙일보 (joongang.co.kr)
‘무늬만 1위 조선업, 노새에 머무를까 사자로 뛸까’라는 주제로 중앙일보에 교수님께서 기고하신 글입니다.


2022.07
기사링크 : [기고]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 파업, 공멸의 오징어 게임을 원하는가 – 이뉴스투데이 (enewstoday.co.kr)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 파업, 공멸의 오징어 게임을 원하는가’라는 주제로 이뉴스투데이에 교수님께서 기고하신 글입니다.

2021.09
http://www.hdh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422
‘공존공영의 마리타임 유니버스를 꿈꾸다’라는 주제로 현대해양에 교수님께서 기고하신 글입니다.

2021.07
기사링크 :해상풍력 발전기 10일 만에 설치…한전, 세계 최초 기술 개발 – 중앙일보 (joins.com)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선박저항성능연구실에서 모형시험을 수행한 해상풍력 발전기를 한국전력이 설치하여 21년 7월 7일에 진수식을 군산항에서 시행했습니다.

2021.06
첨부 파일 : https://snutt.snu.ac.kr/wp-content/uploads/2021/06/회장후보자-이신형-소견서.pdf
교수님께서 대한조선학회 제36대 회장 후보자로 출마하여 소견하신 글입니다.

2021.06
선박저항성능연구실 박종열 박사과정생, 박사과정연구장려금 지원사업 선정
박종열 박사과정생은 한국연구재단에서 박사과정 학생의 연구를 지원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연구재단에서 진행하는 2021년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에 최종선정되었다. 이번 사업에서 박종열 박사과정생은 난류촉진장치가 평판 경계층과 천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주제로 선정되었다.
2021.05
선박저항성능연구실 박종열 박사과정생, 2021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미래해양과학기술인상 최우수상 수상
2021년 5월 13~14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개최된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에서 박종열 박사과정생 (지도교수: 이신형)은 Engineering, Ocean 분야 유력 학술지인 Applied Ocean Research에 게재한 논문으로 해양과학 부문 최우수상을 받았다. 해양수산부와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는 해양과학기술 분야 신진 연구자의 육성 및 지원을 위해 매년 미래해양과학기술인상을 시상하고 있으며, 이날 해양과학과 해양기술 부문으로 구분하여 각각 대상 1편 (장관상), 최우수상 2편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장상), 우수상 4편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장상)을 시상하였다. 해당 논문은 2020년 Applied Ocean Research에 게재된 “Effects of a propulsor on the maneuverability of a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in vertical planar motion mechanism tests”이며, 공저자는 이신형 교수, 윤현규 교수, 이승수 교수, 서정화 교수이다.
2021.04
선박저항성능연구실 김연주 박사과정생, BK21 FOUR 우수연구인재 Fellowship 선정
4단계 BK21사업 (BK21 FOUR) 본부 대학원혁신사업단에서 지원하는 우수연구인재 Fellowship 프로그램에 김연주 박사과정 (지도교수: 이신형)이 선정되었다. 우수연구인재 Fellowship 프로그램은 우수 대학원생 지원을 위하여 석박통합 또는 박사과정 신입생에게 우수한 학업 성취도와 창의적 연구 계획을 토대로 등록금 및 생활비를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친환경 디지털 조선해양 교육연구단 소속 김연주 박사과정생은 자유수면이 수면 관통 물체 주위의 난류 유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본 프로그램에 지원하여 선정되었다.
2021.02
선박저항성능연구실 이인수 석사과정생, 서울대학교 기초학문 분야 학문 후속세대 선정
서울대학교는 기초학문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이끌 우수한 학문 후속세대를 발굴·지원하여 안정적으로 학업과 연구에 매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2012년부터 기초학문분야 학문 후속세대를 선정해 왔으며, 올해에도 약 350명의 석사 및 박사과정 학생을 학문 후속세대로 선정하였다. 이인수 석사과정생 (지도교수: 이신형)은 공동 유동 및 캐비테이션 침식 추정에 대한 연구로 지난 3월 2021년 기초학문 분야 학문 후속세대에 선정되었다.
2021.02
첨부 파일 : 2021MacNet기술정책제언집_이신형
해양산업통합클러스터(Maritime Cluster Networking in Korea, MacNet)의 2021기술정책제언집에서 ‘40년 순환선의 꿈’이라는 주제로 교수님께서 기고하신 글입니다.

2020.11
선박저항성능연구실 장준수, 김다민 학부생, 90%를 위한 창의설계 경진대회 수상
교육부 주최, 산학협동재단, LNC+사업단, (사)나눔과 기술 등 4곳에서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매년 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설계 경진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그 중 우수한 작품에 대해 시상하고 있다.2020년 11월 13일(금) 개최된 제12회 소외된 90%를 위한 창의설계 온라인 경진대회에서는 우리학과 장준수, 김다민 학생이 ‘코안다(Coanda) 박스 – 장애인 근로사업장 내 바이러스 전파 방지용 환기 장치 부착물 개발’ (지도교수 이신형 교수) 의 주제로 금상을 수상하였다.
2020.08
선박저항성능 연구실 박격포 석사과정생이 2020년 1학기 응용과학 작은스승 프로그램의 “선박해양저항추진론” 교과목에서 성실하고 모범적인 강의조교 역할을 수행하여 우수 강의조교로 선정되었다.
2020.08
선박저항성능연구실 장준수, 김다민 학부생, 제 10회 EDISON 전산 열유체 SW 활용 경진 대회 대상 수상
미래창조부 주관 첨단사이언스 교육 허브 개발 (EDISON) 사업단에서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매년 전산 열유체, 나노 물리, 계산 화학, 구조 동역학, 전산 설계 분야의 SW 활용 논문 경진 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그 중 우수한 논문에 대해 시상하고 있다.2020년 8월 11일 (화) 개최된 제10회 EDISON 전산 열유체 SW 활용 경진 대회에서는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장준수, 김다민 학생이 ‘바이러스 전파방지를 고려한 흡연부스 내 환기장치 최적 위치 방안’ (지도교수 이신형 교수)의 주제로 대상을 수상하였다.
2020.07
선박저항성능연구실 석우찬 박사,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해양기술부문 대상 수상
2020년 7월 22일~23일 부산 BEXCO에서 개최된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에서 석우찬 박사는 박사과정 중에 에너지 분야 유력 학술지인 Energies에 게재한 논문으로 해양기술부문 대상을 수상하였다. 해양수산부와 (사)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는 해양과학기술 분야 신진 연구자의 육성 및 지원을 위해 매년 미래해양과학기술인상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날 해양과학과 해양기술 부문으로 구분하여 각각 대상 1편(장관상), 최우수상 2편(장관상), 우수상 3편(해기협 회장상)을 시상하였다. 해당 논문은 2019년 Energies에 게재된 “Computational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a Vertical Axis Turbine in a Water Pipe”이며, 공저자는 여홍구, 신소용, 허영철 박사, 정병창 박사, 이신형 교수이다.
2019.10
조선해양공학과 이신형 교수가 미국, 영국 조선학회 석학회원(Fellow)으로 잇따라 선정되었다.

2018.11
“국내 최초 OpenFOAM 사용자들을 위한 필독서의 탄생”
이 책은 CFD에 대한 기본 지식과 약간의 프로그래밍 경험이 있는, 특히 포트란 드으이 구조적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한 개발에 익숙한 연구원이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수치해석의 이론적 설명보다는 OpenFOAM 프레임워크의 동작원리와 구성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2018.03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선박저항성능연구실 예인수조동이 KBS에서 방영된 Enviro-Lotus 팀 관련 영상에 방영 되었습니다.
2018.02
제 1회 X-Corps 페스티벌 우수상(한국기술사회 회장상) 수상

2018.02
해양쓰레기 수거 로봇 개발


2017.11
제 7회 전산열유체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특별상 수상

2016.11
제 6회 EDISON 경진대회 우수상 수상

2016.04
제5회 EDISON 경진대회 최우수상 수상
미래창조부 주관 첨단사이언스 교육 허브 개발(EDISON)사업단에서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매년 전산열유체/나노물리/계산화학/구조동역학/전산설계 분야의 SW 활용 논문 경진대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그 중 우수한 논문에 대해 시상하고 있다.
2016년 3월 22일 개최된 제5회 EDISON 경진대회에서는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4학년 박승철, 최영민 학생이 저속비대선 주위의 유동해석 및 에너지 저감장치의 설계 및 성능검증을 주제로 최우수상(한국연구재단 이사장상)을 수상하였다.
(논문 : EDISON CFD를 이용한 저속비대선용 반원형 덕트 에너지 저감장치의 변수연구, 지도교수 : 이신형 교수)

2015.05
서울대학교 조선해양공학과 선박저항성능연구실 예인수조동이 KBS 예능프로그램 1박 2일 촬영지로 선정되어 15.05.17 방영되었다.

2015. 04
쥐가오리의 유연한 가슴지느러미 움직임에 영감을 받아, 2011년부터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조류발전기를 개발하고 있다.
이런 유연한 움직임은 발전기의 효율을 향상할 수 있으며, 이는 서울대학교 예인수조 실험에서 검증하였다.
2015.03.
1. 제 4회 첨단 사이언스 교육 허브 개발(EDISON)사업 SW활용 경진대회
선박저항성능연구실 소속 박단아 학생, 고선호 학생이 아래와 같이 수상하였다.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발표자료를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박단아 학생(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스프링클러헤드의 형상개선, 우수상)
고선호 학생(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아이스하버식 어도 내 월류부의 흐름특성에 관한 연구, 장려상)
2014.
1. 학부연구생(신진우,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3학년)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거북선 모형시험이 수행되었다.
2013.09.
1.제10회 조선해양의 날 기념 행사에서 교수님께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을 수상하셨습니다.

2013.06.
1. 영문 매거진 Business Korea의 창간 30주년 기념호에 ‘Coordinated Efforts for a Strong Maritime Nation’이라는 주제로 교수님께서 기고하신 글입니다.

2. 머니투데이에서 발간하는 ‘Tech & Beyond’라는 매거진에 실린 교수님과 증권가 베스트 애널리스트와의 우리나라 조선산업의 미래에 대한 대담 내용입니다.
(아래 링크 참고)
http://www.technbeyond.co.kr/articleView.html?no=2013070809127178824